소비자연맹, 19대 국회의원 198명 대상 조사결과

국회의원 10명 중 3명 정도만이 ‘GMO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 일반인(42.1%)보다 낮게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연맹은 19대 국회의원 198명과 수도권 거주 일반인 302명을 대상으로 ‘GMO 인식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회의원의 92.9%가 ‘GMO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관심이 있다’는 비율도 77.8%로 높은 편이었으나, ‘매우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국회의원은 11.6%에 그쳤다고 10일 밝혔다.

일반인의 경우 ‘GMO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63.6%였으며, ‘관심이 있다’는 비율은 45.0%로 국회의원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GMO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다’는 응답은 2.3%에 그쳤다.

국회의원들이 GMO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안전성에 의문이 들어서(33.7%)’, ‘GMO에 대한 불안감이 커서(21.3%)’, ‘정책 대안이 필요한 분야라서(13.4%)’, ‘이상기후로 인한 식량위기에 대응할 대안이라서(6.9%)’ 순으로 나타났다.

국회의원 10명 중 3명(31.8%)은 ‘GMO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절반 이상인 63.1%는 판단을 유보했다. 일반인은 10명 중 4명(42.1%)이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응답해 국회의원보다 GMO의 안전성에 대해 좀 더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MO 단백질이 남아 있지 않은 식용유나 간장에 대해서도 ‘안전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은 매우 낮았다. 국회의원은 12.6%, 일반인은 9.6%만이 ‘안전하다’고 인식했다.

국내 GM작물 현황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국회의원들은 국내에서 GM작물에 대한 유해성 평가를 시행하는지에 대해 38.9%만이 알고 있고, 수입 승인된 GM작물에 대해서는 32.8%가 알고 있었으며, 국내에서의 상업적인 GM작물 재배여부에 대해서는 40.9%가 모르고 있었다.

일반인의 경우 국내 GM작물 유해성 평가 시행 여부는 28.5%가 알고 있었고, 수입 승인된 GM작물에 대해서는 27.2%가 인지했으며, 국내 상업적인 GM작물 재배여부는 16.9%만이 알고 있어 일반인이나 국회의원 모두 국내 GM작물 현황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의원은 GM식품 구입에 대해 일반인보다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초제내성 GM콩으로 만든 두부는 3.5%만이 구입하겠고 답했으며, 영양을 강화시킨 고올레인산 GM콩으로 만든 두부도 14.6%만이 구입하겠다고 응답했다.

이에 비해 일반인은 제초제내성 GM콩으로 만든 두부는 6.6%, 고올레인산 GM콩으로 만든 두부는 27.8%가 구입하겠다고 응답해 국회의원보다는 보다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국회의원이나 일반인 모두 제조체내성보다 영양을 강화시킨 GM식품에 대해서는 다소 긍정적 입장을 보였다.

현재 GMO 표시제도 확대 법안이 국회에 계류 중인 사실에 대해서는 국회의원 10명 중 6명(59.6%)은 알고 있고, 국가 정책 결정과 관련해 필요한 GMO 관련 정보로는 국회의원의 82.8%, 일반인의 54.6%가 식품으로서의 안전성을 꼽았다.

그 다음으로 국회의원은 ‘환경의 영향에 대한 정보’와 ‘GM기술의 문제점 및 장점’을 필요로 한다고 답했으며, 일반인은 ‘GM기술의 문제점 및 장점’, ‘일반식품과 실질적으로 동등한지의 정보’를 필요로 한다고 답했다.

국회의원은 국민과 정부와의 GMO 소통을 위해서는 ‘올바른 정보 전달(57.1%)’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다음으로 ‘안전성 검증(29.9%)’, ‘홍보 및 교육 강화(12.9%)’을 꼽았다.

소통에 있어 GMO 인식도에 영향을 주는 그룹으로는 국회의원의 10명 중 7명이 미디어를 꼽았고 이어 전문가, NGO그룹을 선택했다. 일반인은 47.7%가 미디어를 꼽았고, 국회의원이 8.6%로 다음으로 많았다.

소비자연맹은 “실제로 정책 입안을 하는 국회의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고 미디어를 통한 발언은 큰 영향을 발휘할 수 있어 국회의원들의 GMO에 대한 올바른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면서 “그러나 이번 국회의원 GMO 인식도 결과는 일반인 수준을 못 벗어난 결과로, 국회의원이나 일반인 인식도 향상을 위해서는 정보 제공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식이 요구되며 지속적인 정부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e프레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