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대학 연구진, 만 14~24세 2,700여명 대상 조사

부모와 자주 식사하는 자녀는 심지어 갈등이 있어도 건강한 식습관이 몸에 배어 나이가 들어도 건강한 먹거리를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궬프대학 연구진은 미국에서 부모와 함께 사는 만 14세부터 24세까지 청소년 및 젊은성인 자녀 2,728명을 대상으로 한 식습관과 가족 기능 수준 등을 조사해 이런 결론에 이르렀다고 미국의학협회저널(JAMA) 네트워크 오픈 최신호(21일자)에 발표했다고 ‘서울신문’이 인용, 보도했다.

연구에 따르면, 1주에 적어도 2끼 이상을 가족과 함께 식사하며 자란 자녀는 채소와 과일 같이 몸에 좋은 음식은 더 많이 먹지만 햄버거와 감자튀김과 같이 부실한 음식은 더 적게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영향은 특히 남성에게서 두드러졌다. 가족 간의 식사 빈도가 낮았던 남성들은 여성들보다 정크푸드를 먹을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이번 결과는 가족 간의 식사가 미치는 좋은 점을 처음 연구한 사례는 아니지만, 오늘날 비만율이 치솟고 교류를 피하는 자녀가 늘면서 이런 결과를 공유하는 것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가족 간의 식사로 인한 긍정 효과가 의사소통 또는 정서적 연결 등이 부족해 가족 기능의 수준이 떨어지더라도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를 이끈 캐스린 월턴 영양학 박사과정 연구원은 “가정의 기능이 제대로 이뤄지든 그렇지 못하든 가족끼리 자주 식사하면 채소와 과일을 더 많이 먹게 되고 패스트푸드와 테이크아웃 음식은 더 적게 먹는 것과 관계가 있었다”면서 “이런 결과는 가족 간의 식사가 청소년은 물론 젊은 성인들에게 좀 더 건강에 좋은 식사를 하도록 권장하는 좋은 방법임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특히 가족끼리 함께 저녁을 먹으면 자녀의 식습관 개선과 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가족의 기능이 어떻게 이런 효과를 방해하는지 조사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목표가 식습관 개선이라면 가족 간의 저녁 식사는 가족 기능의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자녀에게 적절한 개입 목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항상 가족과 함께 저녁을 먹는 사람들은 식습관이 개선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나 형제자매와 함께 먹으면 좋은 습관이 생기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이에 대해 월턴 연구원은 “청소년기와 젊은성인기는 비만이 생기기 쉬운 시기이다. 좋지 못한 식생활은 아동기부터 청소년기, 그리고 젊은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식사의 질을 떨어뜨리는 데 이런 시기는 과도한 체중 증가와 관련한 주된 위험 요인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e프레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