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학원, 세균 5종 4시간내 검출 ‘특허출원’

침수지역에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을 예방할 획기적인 병원성 세균 분석방법이 개발돼 수해로 인한 2차 피해를 막는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국립환경과학원(원장 박석순)은 침수지역 내 물, 진흙, 생활도구 등에서 식중독을 일으키는 수인성 세균의 존재여부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진단마커’를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고 10일 밝혔다.

진단마커는 국내외 유전자 정보 DB를 통해 병원성세균의 특이적인 유전자 염기서열을 추출해 특정 세균의 오염여부를 찾아내는 분석법이다.

이번에 개발된 것은 식중독 발생 원인인 △콜레라 △이질균 △살모넬라 △장출혈성대장균 △레지오넬라균(수인성 폐렴유발)등 주요 병원성 세균 5종에 대한 각각의 진단마커다.

이를 통해 유전자 분석법으로 시료 속 식중독 세균을 약 4시간 이내에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됐다. 이는 기존에 유전자 분석을 위해 사용 중인 배양법(약 4일 소요)에 비해 약 20배 이상 빠른 분석이 가능한 방법이다.

이번 진단마커의 개발로 다우리나라는 른 나라보다 앞선 기술력을 갖추며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재해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에 대응하기 쉬워졌다. 외국(인도네시아, 미국 등)의 경우 침수지역의 수인성 질병 관리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 배양법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최근 집중호우, 홍수 등 침수사례가 증가되고 있어 침수지역에 대한 환경보건 감시 강화의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더욱 시기적절한 것으로 평가된다. 기상청에 따르면 1973년 이후 연강수량(10년 평균)은 최근 10년(2001~2010년)에 1,359mm로 가장 많았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침수지역은 하수, 분뇨 등 각종 오염물질 유입으로 세균 감염의 우려가 높고, 피해 주민뿐만 아니라 복구 작업자들도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며 “진단마커로 병원성세균을 확인하면 방역 및 주민보건 관리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e프레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