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위생안전성학회 세미나…안전정보 과학적 접근 필요

햄, 소시지와 같은 가공육을 1군 발암물질로 분류한 세계보건기구(WHO) 발표에 따른 정부의 가이드라인 추진과 관련 “허용된 식품에 대해 섭취량을 정하는 것은 혼란을 유발할 뿐”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4일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주최로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긴급 세미나에서 하상도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교수는 "모든 음식은 극소량의 위해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도 WHO의 발표는 성급했다"며 "식품이 포함한 성분이 아닌 식품을 발암물질로 분류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는 참기름, 현미를 발암물질로 분류한 것과도 같다"며 "식품 지식이 부족한 소비자들에게 불안감을 조성했다. 가공육, 적색육 섭취는 건강 증진면에서 이익이 더 크다"고 밝혔다.

김정년 한국식품산업협회 식품안전부 부장은 "WHO의 발표로 이미 소비자에게는 육가공 제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자리잡게 됐다"며 "이는 가공육 제품 소비가 급감하는 등 사회적 비용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이 이해하기 어려운 식품 정보를 발표하면 이런 혼란은 언제든지 재발할 것"이라며 "모든 식품은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예로 IARC는 가공육을 매일 50g씩 섭취했을 때 기존의 대장암 발생위험이 18% 증가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기존의 대장암 발생 위험이 1%일 경우 위험이 1.18%로 증가한다는 뜻인데도 소비자들은 잘못 인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남정석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암은 식사뿐만 아니라 나이, 담배, 약해진 면역시스템 등 여러 외인성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생기는 것"이라며 "이번 보고서를 계기로 과학적 접근과 현명한 식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가이드라인 마련에도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하상도 교수는 "허용된 식품에 대해 섭취량을 정하는 가이드라인은 혼란을 유발할 뿐"이라며 "섭취량을 권고하기보다 태워서 먹으면 안된다는 등 캠페인을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호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는 "개인 체중, 연령층 등을 모두 고려해 지침을 마련해야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며 "접근성을 위해 모바일 건강 앱 등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패널로 참석한 박정배 식품의약품안전처 농수축산물안전국 국장은 "현재 우리나라 국민의 가공육 섭취량은 우려할 만한 상태가 아니다"라며 "타국이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을 참고하되 우리 국민의 식생활 패턴을 고려한 지침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e프레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